사용법 모음

[일정관리]Trello 간단 사용법

트렐로 사용법


[Trello]


“트렐로 간단 사용법”





오늘 다룰 주제는 "Trello"라는 일정관리 사이트입니다.

영문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간혹 꺼려하시는 분들이 계셔서 이렇게 올립니다.


우선 트렐로의 주소는 https://trello.com 이며 회원가입을 하셔야 이용이 가능합니다.

자, 다들 회원가입이랑 로그인은 쉽게 하실 수 있을테니 생략하고 본론으로 들어가겠습니다.



1. Boards

첫번째 Boards


처음에 설명드릴 것은 보드입니다.

보드는 위에 이미지와 같이 하나의 다이어리 또는 공책 이라고 보시면 되고, 안에 있는 내용들을 넣을 수 있습니다. 생성 방법은 간단합니다.


트렐로에 로그인하고 첫 화면에 회색 버튼 가운데 Create new board... 만 클릭하시면 만드실 수 있습니다.

Create new boardWelcome Board의 옆에 회색 버튼을 클릭하면 보드 생성

(혹시 못 찾고 계신분들을 위해 이미지를 준비했습니다.)


클릭하면 기본적으로 보드의 이름과 배경을 고를 수 있습니다. Create Board 버튼을 클릭하면 보드가 성공적으로 만들어집니다.



2. Boards안에 부속물


트렐로는 계층 구조로 되어 있으며, 크게 나누어서 보면,



보드 ⊃ 리스트 ⊃ 카드




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 보드(공책) 안에는 여러개의 리스트(공책의 페이지)가 있고 리스트 안에는 여러개의 카드(페이지 안에 적어놓은 내용)들이 있습니다.


2.1 리스트

        • 리스트는 +Add another list 버튼을 클릭하면 손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.

        • 생성한 리스트는 다른 보드옮기거나 삭제가 가능합니다.
          (비유하자면 공책에 원하는 페이지를 찢어서 다른 공책에 붙이는 것과 같습니다.)

        • 리스트의 안에는 여러개의 카드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.



2.2 카드

        • 리스트 안에 +Add a card 버튼을 클릭하면 만들 수 있습니다.

        • 카드 안에는 라벨이나 체크리스트, 마감일, 파일들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.

        • 그리고 카드 안에 댓글을 달 수 있습니다.
          (저같은 경우엔 지금 카드의 진행 현황을 댓글로 남기곤 합니다.)

        • 리스트처럼 다른 보드의 리스트로 옮길 수도 있습니다.


          2.2.1 Label
          라벨은 단순하게 카드에 마킹하는 것입니다. 만약에 일정에 차질이 있거나 문제가 생겼다면 빨간색, 일정에 맞춰 잘 진행되어 종료된 내용은 초록색으로 표시 할 수도 있습니다.


2.2.2 Checklist

카드에 체크리스트를 추가해줍니다. 이 체크리스트는 제목을 쓸 수 있으며, 완료 된 내용의 왼쪽 박스를 클릭하면 완료 표시가 됩니다. 체크리스트에 완료 된 리스트에 따라 퍼센트로 진행도를 보여줍니다.


2.2.3 Due Date
카드에 마감일(날짜와 시간)을 지정 할 수 있습니다. 카드의 일정을 마감일에 맞춰 진행했다면 Due Date의 박스를 클릭하여 완료 표시를 해줄 수 있습니다. 마감일이 지났다면 붉은 색으로 Due Date가 표시되며 "(past due)" 라는 문구가 추가됩니다.


2.2.4 Attachment

카드에 파일을 업로드합니다. 컴퓨터 안의 파일이나 Google Drive, Dropbox 등 저장 매체, 링크로도 추가가 가능합니다.




2.3 공유에 대해

원래는 공유에 대해 먼저 설명을 해야하는데 너무 많이 설명을 하게되면머리 아프실까봐 뒤로 미뤄뒀습니다.

        • 트렐로의 보드는 공유를 할 수 있습니다.

        • 만약에 프로젝트의 일정을 관리하고 싶으시면 "팀"을 만들어 사람들을 초대하고 공유할 수 있습니다.

        • 만약에 일정 공유를 해제하고 싶으시면 해당 사람을 삭제하여 못 보게 할 수 있습니다.







일정을 계층구조로 관리하는 트렐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

혹시 추가해주었으면 하는 내용이나 의견이 있으시다면 댓글에 적어주세요.

해당 내용에 대해 편하게 설명하거나 수정해야 할 부분은 빠르게 수정해 드리겠습니다.



'사용법 모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JAVA] 자바 설치 및 자바 환경 설정 방법  (0) 2019.01.14